[정보보안기사] 정보보호 개요 정보보호 3대 요소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이 있다.정보 자산의 중요도 파악 위해, 먼저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요구되는 일반적인 특성이다. 정보보호의 5대 목표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인증, 부인방지가 있다. 기밀성의 특징오직 인가된 사람, 프로스세, 시스템만이 알 필요성에 근거하여 시스템에 접근해야 한다는 원칙이며, 쌍방간에 주고 받는 실제 정보에 대한 비밀성을 보장하는 개념이다.대응책으로는 접근통제와 암호화가 있으며 각종 VPN 기법 등을 통해 기밀성을 구현한다. 무결성의 특징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가 변조/변경/추가/삭제되지 않도록 보호되어야 하는 성질이며, 쌍방간에 주고 받는 실제 정보에 대한 정확성을 보장하는 개념이다. 다시 말해 상호간에 사용하는..
[AIX] lsvg, lspv, lslv 명령어 lsvgVolume Group은 Storage 정보 중 가장 큰 개념이다.물리적인 정보와 논리적인 정보가 존재한다. 사용중인 vg 이름 보기#lsvg #lsvg -oOnline되어 있는 VG를 보여준다. 사용중인 vg의 상세정보 보기#lsvg [vg명]- 현재 사용량 및 남아있는 공간 확인 가능하다. 해당 vg에 mount 정보 보기#lsvg -l [vg명] lspvPhysical Volume은 실제 디스크 정보를 확인하는 것 이다. lsvg와 비슷한 것 같다. 사용중인 PV 보기 #lspv 각 PV의 사용량 확인 #lspv hdisk0 사용중인 PV가 내장디스크인지 외장디스크인지 확인 #lsdev -Cc disk lslvLogical Volume이며, 이..
[Liunx] 리눅스 yum 명령어 YUM 은 rpm 명령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제작한 명령어다.패키지를 분석하여 패키지의 의존성을 해결하고 원격 자동업데이트와 설치를 할 수 있고, 바로 인터넷을 통하여 관련된 패키지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방식이다. 리눅스 yum 사용 방법#yum [옵션] [명령] [패키지명]#yum install [패키지명] 리눅스 yum 옵션#yum update [패키지명]yum update 명령을 사용하면 패키지 업데이트 작업이 진행되며 패키지명을 지정하지 않으면 모든 패키지를 업데이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yum remove [패키지명]yum remove 명령을 사용하면 패키지를 삭제가 가능하며 또한 의존성 관련 패키지들도 같이 삭제된다. #yum listyum..
[Liunx] 리눅스 mount 명령어 특정 장치를 리눅스와 연결하고자 할때 사용한다.장치를 폴더로 연결시킨다. 리눅스 mount 사용 방법#mount -t ext4 -o ro /dev/sdb1 /mnt 리눅스 mount 옵션- fnrvw- f : 실제로 마운트하지 않고 가능여부만 확인한다.- n : /etc/mtab파일에 저장 없이 마운트한다.- r : 읽기만 가능하도록 마운트한다.- v : 자세한 출력모드.- w : 읽기/쓰기가 모두 가능하도록 마운트한다. -t [파일시스템 타입] : 파일시스템 타입 작성- ext : 초기 리눅스 파일시스템이다.- ext2 (Extended filesystem 2) : ext대체, 최대 파일크기 16GB ~ 2TB까지 가능, 255byte 파일명을 지원한다.- ext..
[Liunx] 리눅스 -tar 명령어 리눅스 -tar 사용 방법압축하기 #tar [-옵션] [압축파일 이름] [압축할 파일 이름] 특정 경로로 파일 압축 #tar [-옵션] [압축파일이 생성될 곳과 이름] [압축할 파일 이름] 압축풀기 #tar [-옵션] [압축파일 이름] 특정 경로에 압축 풀기#tar [-옵션-] [압축파일 이름] -C [압축파일이 풀어질 경로] 리눅스 -tar 옵션-c : 새로운 아카이브 생성하기. -x : 압축 해제하기. -v : 압축시에 진행률을 보여준다. -z : gzip 압축 및 압축해제하기. -f : 파일 이름 지정하기. -C : 압축 해제시 경로 지정하기. 리눅스 -tar 압축하기 예제#tar -cvzf test.tar.gz test현재 경로에 test.tar.gz 파일이 ..
[Liunx] 리눅스 crontab 명령어 crontab 옵션#crontab -l 현재 값(list)을 출력합니다 #crontab -e Edit 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crontab -r crontab의 값을 전부 삭제합니다. crontab 필드 값크게 6개의 필드로 나누어져 있습니다.해당사항이 없거나 매일 돌아가게 원한다면 해당 필드에 *를 넣어줍니다. 0:일, 1:월, 2:화, 3:수, 4:목, 5:금, 6:토 crontab 로그 확인#cat /var/log/cron 잘 구동되었는지 확인합니다.
[Liunx] 리눅스 -kill 명령어 프로세스에 특정한 signal을 보내는 명령어이다. 일반적으로 종료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종료 시킬 때 많이 사용한다. -kill 사용 방법kill [-옵션 or 시그널] PID$kill -9 11 -kill 옵션1 SIGHUP(HUP) : hang up의 약자로 프로세스를 재시작시키는 시그널이다. 2 SIGINT(INT) : 인터럽트. 실행을 중지시킨다. [CTRL] + [C] 를 눌렀을 때 보내지는 시그널이다.3 SIGQUIT(QUIT) : 키보드 종료 [CTRL] + [\]9 SIGKILL(KILL) : 무조건 종료, 즉 강제 종료시키는 시그널이다.15 SIGTERM(TERM) : Terminate의 약자로 가능한 정상 종료시키는 시그널로 kill 명령의 기본1..
- Total
-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