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 All Posts (179) N
    • AIX (3)
    • Cisco (11)
    • CVE 취약점 (15)
    • Liunx (14)
    • Oracle (9)
    • Reversing (101)
      • Anti-Reversing (3)
      • Malware analysis (40)
      • Reversing Tech (19)
      • ETC (39)
    • Troubleshooting (1)
    • Wargame & CTF (4)
      • Hackerschool FTZ (1)
      • OverTheWire (3)
    • WEBn (5)
      • WEB1 (1)
      • WEB2 - CSS (4)
    • Windows (3)
    • 공인중개사 (3) N
    • 정보보안기사 (6)
    • 티스토리 이벤트 (1)
    • ETC (3)

정짱의 작은 도서관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정짱의 작은 도서관

검색하기 폼
  • All Posts (179) N
    • AIX (3)
    • Cisco (11)
    • CVE 취약점 (15)
    • Liunx (14)
    • Oracle (9)
    • Reversing (101)
      • Anti-Reversing (3)
      • Malware analysis (40)
      • Reversing Tech (19)
      • ETC (39)
    • Troubleshooting (1)
    • Wargame & CTF (4)
      • Hackerschool FTZ (1)
      • OverTheWire (3)
    • WEBn (5)
      • WEB1 (1)
      • WEB2 - CSS (4)
    • Windows (3)
    • 공인중개사 (3) N
    • 정보보안기사 (6)
    • 티스토리 이벤트 (1)
    • ETC (3)
  • 방명록

Liunx (14)
[Liunx] 리눅스 X윈도

[Liunx] 리눅스 X 윈도 X 윈도 X.org- X.org 기반의 X 윈도 시스템이다.-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기반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지 않고 서로다른 이 기종을 함께 사용한다.-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X Protocol 사용한다.- 로컬 사용자가 TCP 포트 6000번을 통해 전달한다.- Unix Domain Socket을 이용한 통신이다. Xlib- C언어로 구현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X서버와 대화해주는 역할이다.- 저수준의 인터페이스, 단순한 기능이다.- 최근 Xlib의 기능을 포함한 Xt, Xaw, Motif, FLTK, GTK+, Qt, Tk, SDL 등이 있다.- 최근 X.org에서는 XCB(X protocol C-language Bindi..

Liunx 2018. 2. 26. 17:48
[Liunx] 리눅스 에디터 종류

[Liunx] 리눅스 에디터 종류 emacs(이맥스) 에디터emacs 편집기는 vi 편집기와 달리 비모드형 편집기이다.리처드 스톨만이 매크로기능이 있는 텍스터 교정 및 편집기로 개발하였으며, 이 후 제임스 고슬링이 LISP 언어에 환경 설정 및 에디터의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배포한 편집기이다. 초보자가 사용하기 힘들다.단축기로는 [Ctrl]+[x]; [Ctrl]+[c]은 emacs 종료한다. 변경 내용 있는 경우 'y' 또는 'n' 선택[Ctrl]+[x]; [Ctrl]+[s]은 편집된 내용을 저장한다. [Ctrl]+[x]; [Ctrl]+[f]은 새 문서 작업을 위해 새 파일명 지정 후 편집한다. vi 에디터가장 많이 쓰이는 문서 편집기이며, 다른 편집기들과 다르게 모드형 편집기이다. ..

Liunx 2018. 2. 21. 10:41
[Liunx] 리눅스 yum 명령어

[Liunx] 리눅스 yum 명령어 YUM 은 rpm 명령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제작한 명령어다.패키지를 분석하여 패키지의 의존성을 해결하고 원격 자동업데이트와 설치를 할 수 있고, 바로 인터넷을 통하여 관련된 패키지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방식이다. 리눅스 yum 사용 방법#yum [옵션] [명령] [패키지명]#yum install [패키지명] 리눅스 yum 옵션#yum update [패키지명]yum update 명령을 사용하면 패키지 업데이트 작업이 진행되며 패키지명을 지정하지 않으면 모든 패키지를 업데이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yum remove [패키지명]yum remove 명령을 사용하면 패키지를 삭제가 가능하며 또한 의존성 관련 패키지들도 같이 삭제된다. #yum listyum..

Liunx 2018. 2. 20. 13:28
[Liunx] 리눅스 mount 명령어

[Liunx] 리눅스 mount 명령어 특정 장치를 리눅스와 연결하고자 할때 사용한다.장치를 폴더로 연결시킨다. 리눅스 mount 사용 방법#mount -t ext4 -o ro /dev/sdb1 /mnt 리눅스 mount 옵션- fnrvw- f : 실제로 마운트하지 않고 가능여부만 확인한다.- n : /etc/mtab파일에 저장 없이 마운트한다.- r : 읽기만 가능하도록 마운트한다.- v : 자세한 출력모드.- w : 읽기/쓰기가 모두 가능하도록 마운트한다. -t [파일시스템 타입] : 파일시스템 타입 작성- ext : 초기 리눅스 파일시스템이다.- ext2 (Extended filesystem 2) : ext대체, 최대 파일크기 16GB ~ 2TB까지 가능, 255byte 파일명을 지원한다.- ext..

Liunx 2018. 2. 20. 09:47
[Liunx] 리눅스 -tar 명령어

[Liunx] 리눅스 -tar 명령어 리눅스 -tar 사용 방법압축하기 #tar [-옵션] [압축파일 이름] [압축할 파일 이름] 특정 경로로 파일 압축 #tar [-옵션] [압축파일이 생성될 곳과 이름] [압축할 파일 이름] 압축풀기 #tar [-옵션] [압축파일 이름] 특정 경로에 압축 풀기#tar [-옵션-] [압축파일 이름] -C [압축파일이 풀어질 경로] 리눅스 -tar 옵션-c : 새로운 아카이브 생성하기. -x : 압축 해제하기. -v : 압축시에 진행률을 보여준다. -z : gzip 압축 및 압축해제하기. -f : 파일 이름 지정하기. -C : 압축 해제시 경로 지정하기. 리눅스 -tar 압축하기 예제#tar -cvzf test.tar.gz test현재 경로에 test.tar.gz 파일이 ..

Liunx 2018. 2. 19. 16:10
[Liunx] 리눅스 문자열 치환(vi 편집기)

[Liunx] 리눅스 문자열 치환(vi 편집기) vi 편집기에서 파일 전체에서 문자열을 일괄로 치환하는 방법입니다. 리눅스 문자열 치환 사용 방법 리눅스 문자열 치환 예제:1,7 s/fail/success/g fail이라는 문자열 모두를 success로 치환한다는 말이다.

Liunx 2018. 2. 19. 14:33
[Liunx] 리눅스 crontab 명령어

[Liunx] 리눅스 crontab 명령어 crontab 옵션#crontab -l 현재 값(list)을 출력합니다 #crontab -e Edit 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crontab -r crontab의 값을 전부 삭제합니다. crontab 필드 값크게 6개의 필드로 나누어져 있습니다.해당사항이 없거나 매일 돌아가게 원한다면 해당 필드에 *를 넣어줍니다. 0:일, 1:월, 2:화, 3:수, 4:목, 5:금, 6:토 crontab 로그 확인#cat /var/log/cron 잘 구동되었는지 확인합니다.

Liunx 2018. 2. 19. 13:04
[Liunx] 리눅스 -kill 명령어

[Liunx] 리눅스 -kill 명령어 프로세스에 특정한 signal을 보내는 명령어이다. 일반적으로 종료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종료 시킬 때 많이 사용한다. -kill 사용 방법kill [-옵션 or 시그널] PID$kill -9 11 -kill 옵션1 SIGHUP(HUP) : hang up의 약자로 프로세스를 재시작시키는 시그널이다. 2 SIGINT(INT) : 인터럽트. 실행을 중지시킨다. [CTRL] + [C] 를 눌렀을 때 보내지는 시그널이다.3 SIGQUIT(QUIT) : 키보드 종료 [CTRL] + [\]9 SIGKILL(KILL) : 무조건 종료, 즉 강제 종료시키는 시그널이다.15 SIGTERM(TERM) : Terminate의 약자로 가능한 정상 종료시키는 시그널로 kill 명령의 기본1..

Liunx 2018. 2. 19. 10:58
이전 1 2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 [에듀윌 공인중개사] 환급후기 (1차+2차 환급보⋯
  • [ETC] 한국의 인터넷 뱅킹 보안에 대한 후속 ⋯
  • [ETC] 최근 유행하고 있는 chatgpt 언어⋯
  • [에듀윌 공인중개사] 환급 신청 방법 (1차+2차⋯
최근에 달린 댓글
  • 좋은 글 감사합니다.
  • 공감하고 갑니다.
  • 이 글을 늦게 봤네요. https://app.any.⋯
  • 이번 포스팅도 잘 보고 갑니다! 즐거운 일요일 보내세요⋯
Total
288,524
Today
0

By jeong_zzang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