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 All Posts (179) N
    • AIX (3)
    • Cisco (11)
    • CVE 취약점 (15)
    • Liunx (14)
    • Oracle (9)
    • Reversing (101)
      • Anti-Reversing (3)
      • Malware analysis (40)
      • Reversing Tech (19)
      • ETC (39)
    • Troubleshooting (1)
    • Wargame & CTF (4)
      • Hackerschool FTZ (1)
      • OverTheWire (3)
    • WEBn (5)
      • WEB1 (1)
      • WEB2 - CSS (4)
    • Windows (3)
    • 공인중개사 (3) N
    • 정보보안기사 (6)
    • 티스토리 이벤트 (1)
    • ETC (3)

정짱의 작은 도서관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정짱의 작은 도서관

검색하기 폼
  • All Posts (179) N
    • AIX (3)
    • Cisco (11)
    • CVE 취약점 (15)
    • Liunx (14)
    • Oracle (9)
    • Reversing (101)
      • Anti-Reversing (3)
      • Malware analysis (40)
      • Reversing Tech (19)
      • ETC (39)
    • Troubleshooting (1)
    • Wargame & CTF (4)
      • Hackerschool FTZ (1)
      • OverTheWire (3)
    • WEBn (5)
      • WEB1 (1)
      • WEB2 - CSS (4)
    • Windows (3)
    • 공인중개사 (3) N
    • 정보보안기사 (6)
    • 티스토리 이벤트 (1)
    • ETC (3)
  • 방명록

Liunx (14)
[Liunx] 리눅스 nohup 명령어 정리

[Liunx] nohup 명령어 정리 $./shell & $./nohup shell & 두 개의 차이점은 이렇다. nohup 으로 실행하면 hang-up signal 이 와도 동작하기 때문에 터미널 연결이 끊어져도 실행을 멈추지 않는다. & 은 백그라운드로 돌린다는 의미이며, 기본적으로는 nohup 이 아닐 경우 터미널이 끊어지면 실행도 끊어졌었다. 하지만 요즘들어 옵션에 nohup 과 같은 동작을 하게 설정이 되어 있어서 & 만으로도 nohup 과 같은 동작을 보이는 것이다. nohup(노헙) 정의 리눅스, 유닉스에서 쉘스크립트파일 (*.sh)을 데몬형태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nohup 주의사항 nohup으로 실행할 쉘스크립트파일 (*.sh)은 현재 퍼미션이 755 이상 상태여야 한다. $chmo..

Liunx 2018. 2. 9. 17:17
[Liunx] 리눅스 폴더(디렉토리) 용량 확인 명령어

du는 disk usage의 약자로 폴더(디렉토리)의 용량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선택한 디렉토리의 용량 뿐 아니라 그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의 용량도 출력해준다. 디렉토리와 모든 하위 디렉토리의 용량을 표시해준다.예를 들어#du /etc라고 하면 etc 디렉토리와 그 하위 디렉토리의 사용량이 출력되고 단위는 kbyte이다. 선택한 디렉토리만의 용량을 알고 싶으면 s 옵션을 쓴다.#du -s /etc용량이 읽기 편한 단위로 나오게 하려면 h 옵션을 쓴다.#du -sh /etc 예를 들어 etc 디렉토리 바로 아래 디렉토리들의 용량을 알고 싶으면#du -sh /etc/* 사용한다. 디스크 사용량 확인참고로 디스크 사용량은 df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df -h

Liunx 2018. 2. 6. 10:53
[Liunx] 리눅스 (오라클)프로세스 확인

오라클 프로세스가 제대로 떠있는지 확인$ps -ef | grep ora_ ora_pmon_ : PMON(Process Monitor)오라클에 서버에서 사용되는 각 프로세스들을 감시하는 프로세스 이다. 비정상 종료된 데이터베이스의 접속을 정리 한다.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프로세스들을 감시하여 종료 시키며,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프로세스들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재사용 가능하게 한다. ora_dbw0_ : DBWR(Database Writer)필수적인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이며 Database writer의 약자로 database buffer cache의 내용을 data file로 저장함, 즉 사용자가 실행한 SQL문에 의해 데이터의 변경 내역을 테이블에 저장하는작업 다시 말해서 DBWR은 데이터 버퍼 캐시에 존..

Liunx 2018. 2. 5. 14:07
[Liunx] 리눅스 SQL 실행 및 로그 저장

쉘 스크립트에서 SQL문 실행 후 로그 저장하기#!/bin/shTODAY = 'date +%Y%m%d%H%M%S' sqlplus "/as sysdba"

Liunx 2018. 2. 2. 10:20
[Linux] 리눅스 root 비밀번호 초기화

RHEL, CentOS6, CentOS7 RHEL, CentOS6edit를 들어가서kernel 쪽 부분을 확인한다.rhgb quiet 까지만 써 있는데 그 뒤에 한칸 띄고single 입력 하고 엔터를 누르면 끝난다.하지만그래도 싱글 모드에 들어가 지지 않으면single 대신 “selinux=0” 또는 “setenforce 0” (해보지는 않았다.) CentOS7CentOS 7.2 root 비밀번호 분실시 초기화 방법 ro 를 rw 로 수정 rhgb quiet 삭제 init=/bin/bash 추가ro => rw, rhgb quiet 삭제, init=/bin/bash 추가한다.Ctrl+x , F10 아니면 boot 단축키 b라고 있을듯 빠져 나온다.그 다음명령 프롬프트가 나온다. 그 후#passwdNew U..

Liunx 2018. 2. 1. 14:05
[Liunx] 리눅스 ntp 서버 설정하기(사설망 내부 서버들의 시간 동기화)

RHEL, CentOS에서 ntp 서버 설정하기(사설망 내부 서버들의 시간 동기화)NTP 는 시간을 NTP 서버와 자동으로 동기화 해주는 프로토콜이다.시간을 정확하게 맞춰야 하는 중요한 서버 같은 경우에는 NTP 서버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거 같다.사설망내에서 시간의 기준이 되는 예로 192.168.100.15 번 서버는 /etc/ntp.conf 파일에서 다음 부분만 수정하여 설정 #Hosts on local network are less restricted. #restrict 192.168.1.0 mask 255.255.255.0 nomodify notrap restrict 192.168.100.0 mask 255.255.255.0 nomodify notrap # 로컬 서버들이 시간 정보를 가져갈 수 있..

Liunx 2018. 2. 1. 11:30
이전 1 2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 [에듀윌 공인중개사] 환급후기 (1차+2차 환급보⋯
  • [ETC] 한국의 인터넷 뱅킹 보안에 대한 후속 ⋯
  • [ETC] 최근 유행하고 있는 chatgpt 언어⋯
  • [에듀윌 공인중개사] 환급 신청 방법 (1차+2차⋯
최근에 달린 댓글
  • 좋은 글 감사합니다.
  • 공감하고 갑니다.
  • 이 글을 늦게 봤네요. https://app.any.⋯
  • 이번 포스팅도 잘 보고 갑니다! 즐거운 일요일 보내세요⋯
Total
288,524
Today
0

By jeong_zzang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