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lware analysis] 정보 탈취형 멀웨어 Lokibot 분석 정보 탈취형 멀웨어인 로키봇(LokiBot)은 특히 악성 스팸 메일 캠페인을 통해 번지고 있으며, 주로 ISO 이미지 파일이 첨부되어 있다는 게 특징이다. 첨부 악성 파일은 악성 실행 파일(.exe)이 포함된 압축파일(.zip) 혹은 문서 파일(.docx, .xls, .pptx)이 있다.로키봇 악성코드는 사용자 PC의 메일, 웹 브라우저, 패스워드 관리 프로그램 등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 또 사용자 몰래 C&C서버에 접속해 탈취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 PC를 원격 조종해 추가적인 악성 행위 시도를 한다 해당 파일의 해시 값 조회 시 60곳에서 악성코드로 진단이 되고 있다. 문자열 조회 시 select문을 이용..
[Malware analysis] 암호 걸린 첨부 파일 내 워드문서를 통한 인포스틸러(Emotet) 악성코드 참조- 암호 걸린 첨부 파일로 유포 중인 Emotet 악성코드> https://asec.ahnlab.com/1395> https://jeongzzang.com/150> https://jeongzzang.com/148> https://jeongzzang.com/97 과거와 동일한 형태로 MS 워드 문서의 매크로를 통하여 인포스틸러인 이모텟이 유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워드 파일의 매크로 부분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짜여진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후 확인할 것이다. 다음으론 워드 문서를 이용할 땐 매크로 활성화를 위하여 콘텐츠 사용 탭이 보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즉 매크로 [콘텐츠 ..
[Malware analysis] Poulight Stealer 인포스틸러 악성코드 참조> https://isarc.tachyonlab.com/3075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Poulight Stealer 이며, 해당 악성코드의 주요 행위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파일 확인 시 닷넷(.net)으로 제작 된 파일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닷넷 디버거를 이용하여 살펴보겠습니다.(그림 1) 해당 파일을 main 부분을 살펴보면 Check Vm 이라는게 보이며 가상환경 유무를 확인하는지 예상할 수 있다. 먼저 CheckVM()을 살펴보자.(그림 2) "Select * from Win32.ComputerSystem"이라는 쿼리문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vmware, VIRTUAL, VirtualBox, sbiedll..
- Total
-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