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 All Posts (181)
    • AIX (3)
    • Cisco (11)
    • CVE 취약점 (15)
    • Liunx (14)
    • Oracle (9)
    • Reversing (102)
      • Anti-Reversing (3)
      • Malware analysis (41)
      • Reversing Tech (19)
      • ETC (39)
    • Troubleshooting (1)
    • Wargame & CTF (4)
      • Hackerschool FTZ (1)
      • OverTheWire (3)
    • WEBn (5)
      • WEB1 (1)
      • WEB2 - CSS (4)
    • Windows (3)
    • 공인중개사 (3)
    • 이사준비 (0)
    • 밥그릇 (0)
      • 식당 (0)
      • 카페 (0)
    • 정보보안기사 (6)
    • 티스토리 이벤트 (1)
    • ETC (4)

정짱의 작은 도서관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정짱의 작은 도서관

검색하기 폼
  • All Posts (181)
    • AIX (3)
    • Cisco (11)
    • CVE 취약점 (15)
    • Liunx (14)
    • Oracle (9)
    • Reversing (102)
      • Anti-Reversing (3)
      • Malware analysis (41)
      • Reversing Tech (19)
      • ETC (39)
    • Troubleshooting (1)
    • Wargame & CTF (4)
      • Hackerschool FTZ (1)
      • OverTheWire (3)
    • WEBn (5)
      • WEB1 (1)
      • WEB2 - CSS (4)
    • Windows (3)
    • 공인중개사 (3)
    • 이사준비 (0)
    • 밥그릇 (0)
      • 식당 (0)
      • 카페 (0)
    • 정보보안기사 (6)
    • 티스토리 이벤트 (1)
    • ETC (4)
  • 방명록

SeDebugPrivilege (1)
[Malware analysis] 류크(Ryuk) 랜섬웨어 ①

[Malware analysis] 류크(Ryuk) 랜섬웨어 헤르메스(Hermes) 랜섬웨어 변종으로 분류되는 류크 랜섬웨어는 표적형 랜섬웨어로 알려져 있다.특정 조직 및 기업을 대상으로 유포하는 특징이며, 헤르메스 랜섬웨어와 유사하다. 또한, 확장자를 변경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살펴보자. 1. 원본 파일 삭제 및 파일 생성루프문을 통해 C: (0x43 0x3A)을 복사 후 해당 문자열 뒤에 \users\public을 추가 복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루틴을 통해 파일명(vWQql.exe)을 생성한 후 .exe 확장자를 복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명은 매번 랜덤하게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메모리에 저장한 후 CreateFile()을 이용하여 C:\users\pub..

Reversing/Malware analysis 2020. 10. 6. 14:54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250x250

By jeong_zzang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