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LAN이란? 스위치의 각 포트를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 구분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VLAN의 포트는 Access / Trunk 두가지이다. 트렁크란? 트렁크란 복수개의 VLAN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링크를 말한다. 즉, 하나의 vlan에만 소속된 액세스 링크와 달리, 트렁크는 복수개의 vlan에 소속된 링크이다. 주로 스위치 간을 연결할대 사용한다. 하지만 vlan이 하나뿐이면 트렁크를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번 예제는 Trunk Port (Tagged Port)를 실습해보겠다. [예제] Vlan 설정 해보기. [Step 1] VLAN 생성하기. http://jeongzzang.com/35 - 위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Step 2] 추가된 장비에 VLAN 기본 설정 해주기. - trunk..
VLAN이란? 스위치의 각 포트를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 구분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VLAN의 포트는 Access / Trunk 두가지이다. 액세스란? 액세스란 하나의 Port에 하나의 vlan을 사용할 경우 설정을 한다. 이번 예제는 Access Port (Untagged Port)를 실습해보겠다. [예제] Vlan 설정 해보기. [Step 1] VLAN 생성하기. Switch>enable Switch#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s, one per line. End with CNTL/Z.Switch(config)#vlan 10Switch(config-vlan)#?VLAN configuration commands: exit Apply chang..
- Total
- Today